1. 자평진전 격국론 요약 - 성격(成格), 파격(破格)
페이지 정보
본문
1. 성격(成格) 포맷
격 국 |
유 형 |
주 안 점 |
財 格 |
∙ 재왕생관 財旺生官
∙ 재봉식상 財逢食傷
∙ 재격투인 財格透印 |
財格透印의 경우, 인수가 투출하여 재와 인수가 서로 극하지 않도록
그 위치가 적절해야 財印雙淸으로 더욱 성격된다 |
官 格 |
∙ 관봉재인 官逢財印
∙ 정관용재 正官用財
∙ 정관패인 正官佩印 |
官格은 특히 刑沖되지 말아야 하며,
刑沖으로 인해 개고된 글자가, 他干을 합거하여, 화한 오행의 계절을 득하는
경우에는 再成格됨을 유의해야 한다 |
印 格 |
∙ 인봉관살 印逢官殺
∙ 인용식상 印用食傷
∙ 인다용재 印多用財 |
특히 칠살을 기뻐하는 경우는, 인수가 輕할 때이고,
印綬格은, 식상이 동시에 투출한 것을 꺼리지 않으며,
正編印이 交集한 경우에는 財를 쓰는 것이 가장 좋다 |
食 格 |
∙ 식신생재 食神生財
∙ 식신대살 食神帶殺
∙ 기식취살 棄食就殺 |
食神帶殺은, 財가 없어야 하고,
棄食就殺은, 印綬가 透해야 成格된다 |
七殺格 |
∙ 살용식제 殺用食制
∙ 살격용인 殺格用印
∙ 살격봉인 殺格逢刃 |
殺格逢刃은, 지지 羊刃이 日支나 時支에 있어야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신약명 - 칠살의 극제를 견딜 수 있게 도와 成格시킴. |
傷官格 |
∙ 상관생재 傷官生財
∙ 상관패인 傷官佩印
∙ 상관대살 傷官帶殺 |
傷官格에 印綬를 쓰는 경우에는, 印綬의 뿌리가 깊어야 하고,
傷官帶殺은, 財가 없어야 成格되며,
傷官格은, 財와 印綬를 모두 기뻐하는 특징이 있다 |
陽刃格 |
∙ 양인로살 陽刃露殺
∙ 양인용관 陽刃用官 |
재와 인수의 보좌를 받으면, 격국이 크게 되고,
재와 인수가 서로 극하지 않도록 그 위치가 적절해야 좋으며,
양인격은 특히 상관을 기피한다 |
祿劫格 |
∙ 록겁용관 祿劫用官
∙ 록겁용살 祿劫用殺
∙ 록겁용재 祿劫用財 |
七殺을 쓸 때는, 필시 制伏하는 성분이 있어야 하고,
財를 쓰는 경우에는, 반드시 食傷으로 通關해야 하며,
官은, 財와 印綬가 相隨해야 좋다 |
2. 파격(破格) 포맷
財格 |
財輕比重 : 財透七煞 |
官格 |
官逢傷剋-刑沖 |
印格 |
印輕逢財 : 身强印重 而透煞 |
食格 |
食神逢梟 : 食神生財露煞 |
七殺格 |
七煞逢財-無制 |
傷官格 |
傷官非金水-而見官 : 傷官生財-而帶煞 : 傷官佩印-而傷輕身旺 |
陽刃格 |
陽刃-無官煞 |
祿劫格 |
無財官 : 透殺印 |
출처 :Leesoo Bazi Art [이수 사주세상] 원문보기▶ 글쓴이 : 해성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