解說 「COMMENTARY」
1。 對於一個命造規定爲從格時, 不管其身强身弱或中和與否, 只按照從之氣,
論吉凶。
2。 化格也是, 如順從化之五行, 則吉, 違逆於此, 則凶。
3。 眞從之例也多少有, 但假從格較多, 假從命也可隨着行運, 可以享貴。
4。 假化格也如此可以享貴, 但一般在幼年時期, 較困苦或父母不全。
1. 팔자를 종격(從格)으로 규정하게 되면 일간(日干)의 강약(强弱) 여부 및 균형
(均衡)의 논리를 떠나 대개 종(從)한 기운을 따라 길흉(吉凶)을 논하게 된다.
☞ 종격(從格)은 신강(身强)의 강왕격(强旺格)과 신약(身弱)의 종아(從兒), 종재
(從財), 종살(從殺)로 나눌 수 있다.
강왕격(强旺格)은 종강격(從强格)과 종왕격(從旺格)으로 구분되는데,
인수(印綬)와 비겁(比劫) 중 “어느 육신(六神)이 월령(月令)을 득(得)했는가”
로 구분한다.
신약(身弱)의 종격(從格) 또한 식재관(食財官) 중 해당 육신(六神)의 득령
(得令)으로 종아(從兒), 종재(從財), 종살(從殺)을 정한다.
월령(月令)을 득(得)한 육신(六神)이 건전하고 이를 거스르는 세력이 없으면
진종(眞從)을 이루지만, 그것만으로 길흉(吉凶)을 단정할 수는 없다.
가령 午月 壬水가 지지(地支)에 화국(火局)을 이루고 金水가 전무(全無)하면
재다신약(財多身弱)으로 부옥빈인(富屋貧人)의 팔자(八字)가 되기도 한다.
2. 화격(化格)역시 화(化)한 기운을 따라 길흉(吉凶)을 논한다.
☞ 진화(眞化)란 화신(化神)이 월령(月令)을 득(得)하고 해당 오행(五行)의
회국(會局)이 성립된 것을 말한다. 즉 계절의 기운을 얻고 화신(化神)을
거스르는 세력이 없어야 진화(眞化) 귀격(貴格)이 성립되는 것이다.
반면 지지(地支)의 회국(會局)으로만 화격(化格)이 성립되면 순도(純度)가
전자에 미치지 못한다.
3. 진종(眞從)의 경우도 더러 있으나, 가종격(假從格)이 더욱 많으며 이 역시
운(運)의 추이에 따라 귀(貴)함을 누릴 수 있다.
☞ 진종(眞從)과 가종(假從)의 차이는 다 같이 종상(從象)을 이루되, 사지(四支)
의 국(局)이 완전한가의 여부로 구분하는 것이다.
종신(從神)의 회국(會局)을 본다면 기명종격(棄命從格)의 귀격(貴格)이 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종재격(從財格)의 팔자에 뿌리 없이 미약한 인수(印綬)가 투(透)했거나 지지
(地支) 인수(印綬)의 글자를 보게 되면 가종격(假從格)이 된다.
만일 통근(通根)해서 출간(出干)한 인수(印綬)의 글자가 있다면 종격(從格)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다.
4. 가화격(假化格)을 이루면 초년에 곤고(困苦)함이 있기 쉬운데, 가종(假從)과
마찬가지로 성장해서 역시 귀(貴)한 신분이 될 수 있다.
☞ 진화(眞化)과 가화(假化)의 차이는 다 같이 화상(化象)을 이루되, 사지(四支)
의 국(局)이 완전한가의 여부로 구분하는 것이다. 만일 통근(通根)해서 출간
(出干)한 글자가 세력을 거스른다면 화격(化格) 자체가 성립되지 않으므로
일반 내격(內格)의 희기(喜忌)를 취한다.
★ 종상(從象)
종상(從象)에는 ‘종왕, 종강, 종기, 종세’가 있다.
종왕(從旺) |
팔자가 모두 비겁(比劫)이면서 관살(官殺)의 제복(制伏)이 미약하고, 인수(印綬)의 생조(生助)만이 현저하여 왕극(旺極)에 이른 것으로 왕신(旺神)을 따라야 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인비(印比)를 기뻐하고 관살(官殺)에 봉(逢)하면 왕신(旺神)을 범하여 흉화(凶禍)가 있다. 재(財)를 보면 군겁상쟁(群劫相爭)하여 구사일생(九死一生)을 면키 어렵다. |
종강(從强) |
팔자에 인수(印綬)가 득령(得令)하고 비겁(比劫)이 중(重)하며 재관(財官)이 미약할 때 이인동심(二人同心)이라 하여 강함이 극(極)에 이른 것으로 순(順)은 아름다우나 역(逆)은 불리하다. 인비(印比)를 기뻐하고, 재운(財運)을 가장 기피한다. |
종기(從氣) |
종기(從氣)란 신강(身强), 신약(身弱)을 막론하고 기세(氣勢)가 金水에 있으면 금수운(金水運)에 발전하고, 木火에 있으면 목화운(木火運)에 발전하는 것을 말한다. |
종세(從勢) |
팔자에 식재관(食財官)이 모두 왕(旺)하고, 일주(日主)를 생부(生扶)하는 겁인(劫印)이 없으면 하나의 오행(五行)에 종(從)하기 어려우므로 화해(和解)가 좋은 것이다. 인비(印比)는 응당 기피하며, 재운(財運)을 가장 기뻐하고, 다음으로 관살(官殺), 식상(食傷)의 순이다. |
출처 :Leesoo Bazi Art [이수 사주세상]
원문보기▶ 글쓴이 : 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