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평진전 내외격 구분
페이지 정보
본문
1. 내격
월령을 근거해서 격국의 명칭이 정해지는 제반 격 (명식에 보이는 글자로 운용되는 범위)
가. 격을 정하는 위치 혹은 기세를 살피는 관점.
정격 : 월지에서 격을 정함.
변격 : 팔자의 기세를 살펴 격을 정함(종격. 일행득기 등)
나. 부억법 틀의 관점
평격 : 인비 식재관으로 구분되는 부억의 틀에서 운용되는 것 (적천수의 내격 팔격. 종격)
별격 : 인비 식재관으로 구분되는 부억의 틀에서 벗어나는 것 (화격. 일행득기. 삼상격. 양신성상)
2. 외격 : 월령에서 용신을 구하지 않는 제반 격 ( 명식에 보이지 않는 글자까지 운용하는 범위
[격이라기 보단 허자 운용기의 단서]
가. 일주를 극하는 관.
불러올 극자를 극.
불러오는 허자를 극
===> 격. 불성립.
나. 팔자에서 관이 견실되면 외격자체가 불성.
일지. 시지가 중요하다.
세운에서 허귀의 전실운(간지포함)과 형충운을 기피한다.
대운에선 전실운을 논하지 않는다.
다. 일반외격 - 암충. 암합의 기법으로 운용되는 격 --> 재와 관의 허귀를 사용하는 격.
(도충격. 일록시귀격. 정란차격. 암합격. 합록격. 요합격. 형합격)
특수외격 - 재관이 아닌 명식의 특정글자를. 세웅에서 형충극 하는 것을 기피하는 격.
(포태격. 일록시귀격. 공귀격. 공록격. 육임추간격. 육갑추간격. 양인격. 간지지왕격.
구진득위격. 현무당권격. 일귀격. 일덕격. 괴강격. 일인격)
출처 :Leesoo Bazi Art [이수 사주세상] 원문보기▶ 글쓴이 : 해성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