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신법(用神法)
페이지 정보
본문
用神法
1. 扶抑用神
2. 病藥用神
3. 調候用神
4. 專旺用神
5. 通關用神
■ 위 다섯 가지가 일반적인 用神法의 정설이다. 이 중 4번의 專旺用神法은 오준민이나 우달인과 같은 최근의 대만 命理學者들에 의해 扶抑用神法에 포함되어 보통 4가지로 요약되기도 한다. 扶抑法에 대한 견해는 서락오식의 用神法과 格局論者들의 用神法이 조금 다른데, 이것은 日干의 扶抑用神이냐, 月令의 扶抑用神이냐의 차이로 결국 `子平眞詮`의 '... 或扶或抑...'이란 구절을 각기 나름대로 해석한 것의 차이에 불과하다. 이때 가령 이미 정해진 서락오식의 扶抑用神을 기준으로 하여 보면 이 用神을 무조건 扶하는 게 좋을 것이고, 抑하는 것은 무조건 나쁘게 본다.
■ 따라서 이런 점에 착안하면 專旺法은 扶抑用神法과 같은 개념이 된다. 오준민이나 우달인의 관법이 그렇다는 이야기다.
다음으로 이 다섯 가지의 用神法을 적용하는 원칙이 없다. 바로 이런 점이 四柱學의 3대 텍스트를 융합 시키지 못하는 원인이 된다. 실은 이러하다. 調候法과 病弱法은 命式 원국 구성에서 命式의 高低나 吉凶을 살피는 데에 한하여 적용한다. 또한 大運 역시 體로 보아 大運의 地支를 살피는 데도 중요하게 다룬다. 즉 壬子 歲運이라면 水氣가 扶抑法上 喜用神인 경우 吉할 확률이 높고, 命式 원국에 火氣가 부재한 경우, 大運에서는 丙午 大運의 환경이 아름답게 작용한다는 식이다.
病弱法은 格局의 順用, 逆用에서 가령 忌神 天干의 干合이 이루어진 경우 命式을 건전하게 만드는 病과 藥의 관계가 설정되므로, 이 역시 命式 원국의 건전성을 타전하는 요인으로 살피는 데 국한한다.
成敗를 따지는 運(行運法)에 적용하는 것은 扶抑法이 主다. 이는 內外格(專旺<扶抑)을 불문하고 마찬가지. 그러나 이에 속하지 않는 別格의 경우에는 通關用神을 채용해야 한다.
■ 子平의 特殊 雜格은 破格의 요인이 되는 특별한 글자에 해당되는 運을 극히 기피한다. 즉 五行의 喜忌와 달리 적용되는 바가 있으므로, 이것이 正格과 구별되는 雜格의 특이성이라 할 수 있다.
출처 :역학동 원문보기▶ 글쓴이 : 두타산관음암(李基勳)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