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전(反轉)
페이지 정보
본문
reverse (反轉)
三會(삼회)가 일어나면 reverse(反轉)현상이 발생한다.
三會(삼회)란 三合(삼합)과 方合(방합)을 말한다.
命局(명국)에 月支(월지)를 포함해서 三會(삼회)가 이루어지든가가 아니면
大運(대운)이나 歲運(세운)에서 三會(삼회)가 이루어질 경우에서 反轉(반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이 反轉(반전) 현상을 주시하는 것은
推論(추론)시의 秘笈(비급)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1. 申子辰(신자진)이나 亥子丑(해자축)의 水局(수국)이 이루었을 경우에는
다음 세 가지의 反轉(반전)의 현상이 발생한다.
1) 反剋(반극) : 申子辰(신자진) 亥子丑(해자축) 水局(수국)을 生(생)하는
五行이 金星(금성)이다
그러나 水星(수성)이 많을 경우에는 金이 水를 生하는 것이
반전되어 金星이 水星에 빠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를 水多金沈(수다금침:水가 많아서 金이 갈아 앉는다는 의미))의
현상이 발생하여 金星(금성)의 六神(육신)과 六親(육친)의 物象의 나들이가
발생한다.
2) 逆剋(역극) : 申子辰(신자진) 亥子丑 水局(수국)을 剋(극)하는 五行이
土星(토성)이다.
그러나 土星(토성)이 약하니 오히려 土가 剋을 받는 것이다.
三會가 이루어지면 逆剋(역극)을 가장 우선적으로 주시하는 것이
주요 포인트가 된다. 이를 水多土流(수다토류)하고 하여 土星(토성)의
六神(육신)과 六親星(육친성)에 物象(물상) 나들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3) 反生(반생) : 申子辰(신자진) 亥子丑(해자축) 水局(수국)이 生하는 五行이
木星(목성)이다.
그러나 水星(수성)이 많을 경우에는 生하는 것이 過猶不及(과유불급)이
되어 오히려 木을 剋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水多木浮(수다목부)라고 하며 木星(목성)의 六神(육신)과 六親星(육친성)에
物象(물상) 나들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4) 三會(삼회)의 reverse 의 현상은 三會(삼회) 五行의 官印食傷(관인식상)의
反轉(반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기억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나오는 單語(단어)를 외워둘 필요가 있다. 四柱를 推論(추론)할 때에
기억하여 사용하면 術士(술사)의 言語(언어)의 고급화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5) 水多金沈(수다금침), 水多土流(수다토류), 水多木浮(수다목부)
출처 :Leesoo Bazi Art [이수 사주세상] 원문보기▶ 글쓴이 : 해성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