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회원가입 | 마이페이지 |  0점 |  0 | 즐겨찾기 
공지

07.27 (일)

 가입인사
close
HOME > 회원자료공유 > 사주가이드#1

본 게시판은 회원이 직접 올린 회원간 정보를 공유하는 게시판입니다. 저작권에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자료는 가급적이면 올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저작권 보호요청 : 회원이 올린 게시글 중 저작권에 위배되는 게시글이 있을 경우 연락주시면 확인 후 삭제조치 하겠습니다.

출장안마,출장마사지,바나나출장안마이미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출장안마출장마사지

사주용어 1

페이지 정보

본문

사주용어(四柱用語)

*군겁쟁재(群刦爭財): 많은 비겁(比刦)이 재(財)를 놓고 다투는 격국. 의처증이 심하고 독선적임. 군비쟁재(群比爭財), 자매강강(姊妹剛强)
     戊   戊   戊   戊            乙   甲   乙   癸
     午   戌   午   子            亥   戌   卯   未

*득비이재(得比理財): 비겁(比刦)의 힘을 얻어서 재(財)를 다스리고 있는 격국.
인수운(印綬運)과 비겁운(比刦運)이 돌아오면 신왕(身旺)으로 변하여 재(財)를 다스릴 수 있는 격국. 일주가 지나치게 약하면 득비이재(財)가 아니라 재다신약(財多身弱)이다.
     甲   甲   甲   甲
     戌   寅   戌   戌

*부건파처(夫健怕妻): 일주가 건왕(健旺)하나 재(財)를 두려워한다는 의미.
득비이재(財)와 마찬가지로 재(財)보다 일주가 많아 약간 신약(身弱)한 격국인데, 주중에 관살(官殺)이 나타나 있으면 부건파처(夫健怕妻)라고 한다.
    甲   甲   甲   甲
    戌   寅   戌   申

*재명유기(財命有氣): 재(財)와 일주(日主)가 모두 유기(有氣)한 격국. 신왕재왕(身旺財旺)
    庚   辛   乙   辛
    寅   酉   未   卯

*탐재괴인(貪財壞印): 재(財)를 탐하여 인수(印綬)가 파괴된다는 의미. 반대말은 취재손인(取財損印)

*재인불애(財印不碍): 인수(印綬)와 재(財)가 함께 임하고 있어도 장애가 없는 격국(格局). 인수(印綬)는 길신(吉神)이니 극하면 아니 된다고 하나, 인수(印綬)가 태왕(太旺)하면 재(財)가 극하여야 한다.
인수태왕(印綬太旺)에 재(財)가 용신인 격국. 군뢰신생(君賴臣生)
    戊   甲   壬   壬
    辰   子   子   戌

*재관쌍미(財官雙美): 사주에 정재(正財)와 정관(正官)이 둘 다 한곳에 임하여 있어 아름답다는 의미. 재관쌍미격(財官雙美格), 癸巳日과 壬午日
    癸   癸   壬   甲
    亥   巳   申   寅

*재자약살(財滋弱殺): 신강(身强)한 사주에 관살(官殺)이 미약하고 인수(印綬)가 태왕(太旺)하여 관살(官殺)이 작용하지 못하고 있는데, 재(財)가 약살(弱殺)을 자양하여주고 있는 격국.
    癸   丙   戊   壬
    巳   寅   申   寅

*살인상정(殺刃相停): 칠살(七殺)과 양인(陽刃)이 서로 합하여 머물러 있는 격국. 신약(身弱)하면 양인(陽刃)이 용신이고, 신강(身强)하면 칠살(七殺)이 용신이다.
    戊   辛   丙   丁
    子   酉   午   酉

*명관과마(明官跨馬): 천간의 관성(官星)이 지지의 재(財)의 생을 잘 받고 있다는 의미.

*살인상생(殺印相生): 칠살(七殺)이 인수(印綬)을 생하여 인수(印綬)로 하여금 일주를 생하게 하고 있는 격국.
    壬   甲   庚   乙
    申   戌   辰   亥

*거관유살(去官留殺): 관살(官殺)이 양립(兩立)하고 있는데, 정관(正官)은 제거되고 칠살(七殺)만 남아 있는 격국.

*거류서배(去留舒配): 제거되어야 할 것은 제거되고 남아 있어야 할 것은 남아 있어서 관살(官殺)이 잘 조정되어 있다는 의미. 

*관살병용(官殺並用): 관(官)과 살(殺)을 모두 병용(並用)한다는 의미. 신왕(身旺)한 경우.

*신왕적살(身旺敵殺): 신왕(身旺)하면 칠살(七殺)을 대적해도 겁낼 것이 조금도 없다는 의미.

*전이불항(戰而不降): 칠살(七殺)과의 전투에 임하여 죽으면 죽었지 절대로 항복하지 않는다는 의미. 살인상정(殺刃相停), 신왕살왕(身旺殺旺)

*가살위권(假殺爲權): 살(殺)이 변하여 도리어 권(權)이 된다는 의미.
살인상생(殺印相生), 살인상정(殺刃相停), 식신제살(食神制殺), 상관적살(傷官敵殺), 신왕(身旺)한 사주에 편관유기(偏官有氣)

*일장당관(一將當關): 하나의 장수가 관문을 막아 나를 괴롭히고 해치려는 것을 제압하여 주는 것. 일장당관,군사자복(一將當關,群邪自伏), 식신제살(食神制殺), 상관적살(傷官敵殺)

*아능생모(兒能生母): 나의 자식인 식상(食傷)을 인용(引用)하여 나의 적인 관살(官殺)을 격퇴시키는 것. 아능구모(兒能救母), 식신제살(食神制殺), 상관적살(傷官敵殺)
    丙   庚   丙   壬
    戌   午   午   申

*관록분야(官祿分野): 투출한 일주의 관성(官星)이 지지에 녹(祿)을 놓고 그 녹(祿)이 국(局)을 이루고 있는 경우.
*관성분야(官星分野): 관성(官星)이 투출하고 지지에 녹(祿)은 없으나 국(局)을 이루고 있는 경우.

*살장관로(殺藏官露): 칠살(七殺)은 지지에 암장하여 있고 정관(正官)은 간두에 투출하여 있다는 의미.

*제살태과(制殺太過): 칠살(七殺)은 나를 극하므로 응당 극제하여야 하나, 그 칠살(七殺)을 너무 과히 제거하고 있는 격국.
신왕(身旺)한데 제살태과(制殺太過)인 경우가 있고, 종살격(從殺格)에 제살태과(制殺太過)인 경우가 있다. 제살태과,학이무성(制殺太過,學而無成)
    甲   壬   乙   戊
    辰   寅   卯   辰

*진법무민(盡法無民): 관살(官殺)이 다하여 종자(從者)가 없다는 의미. 제살태과(制殺太過)의 다른 말.

*배록축마(背祿逐馬): 관귀(官貴)가 극제를 당하거나 절(絶)하고 재마(財馬)가 비견겁(比肩劫)을 만난 것. 진법무민(盡法無民)

*녹녹종신(碌碌終身): 주관이 없고 쓸모없이 한 세상을 보낸다는 뜻인데, 일점(一點)의 관성(官星)이 천간에 헛되이 떠서 허탈무기(虛脫無氣)한 경우에 사용하는 말.

*부성입묘(夫星入墓): 관성(官星)이 묘궁(墓宮)에 들어 있다는 의미.

*명암부집(明暗夫集): 투출한 관성(官星)과 암장된 관성(官星)이 사귀어 모여 있다는 의미. 음란지부(淫亂之婦), 가정부적(家庭不適), 작부창부(酌婦娼婦)

*자매강강(姊妹剛强): 여명(女命)에 있어서 비견겁(比肩劫)이 태왕(太旺)한 경우. 탈부(奪夫), 전방지부(塡房之婦), 이녀동부(二女同夫), 고집태강(固執太剛)

*상관상진(傷官傷盡): 상관(傷官)이 관성(官星)을 상하여 관성(官星)의 기운이 다하였다는 의미. 진상관격(眞傷官格)

*파료상관(破了傷官): 상관(傷官)이 용신인데 상관(傷官)이 손상되었다는 의미.

*진가상관(眞假傷官): ①진상관(眞傷官)-상관(傷官)의 설기(洩氣)로 인하여 일주가 신약(身弱)한 격국. ②가상관(假傷官)-신왕(身旺)한 사주에 설수(洩秀)하는 상관(傷官)이 용신인 격국.

*아우생아(兒又生兒): 나의 자손인 식상(食傷)이 또다시 그 자손인 재(財)를 낳았다는 의미. 아우생아종재격(兒又生兒從財格)
    乙   壬   乙   壬
    巳   午   巳   寅

*모쇠자왕(母衰子旺): 모체(母體)가 되는 일주는 약하고 자손(子孫)이 되는 식상(食傷)은 강하다는 의미. 식왕신쇠(食旺身衰)

*모자멸자(母慈滅子): 그 어머니가 너무 인자(仁慈)하여 도리어 그 아들을 망친다는 의미인데, 사주에 인수(印綬)가 너무 많으면 도리어 그 사주는 불길하게 된다는 의미이다. 종강격(從强格)
    戊   壬   戊   壬
    申   申   申   申

*제거기병(除去其病): 사주에 병(病)이 되는 것을 제거시킨다는 의미.

*병약상제(病藥相濟): 사주에 병(病)이 있는데 그 병(病)을 제거하는 약(藥)이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병약상제격(病藥相濟格)

*병중무구(病重無救): 병(病)이 중한데 구출하여줌이 없다는 의미. 황천지객(黃天之客)

*대목지토(帶木之土): 木을 대동하고 있은 土. 辰土과 未土

*양금지토(養金之土): 金을 자양(滋養)하는 土. 辰土와 丑土. 戌未는 水가 있어야 생금(生金)할 수 있다.

*미온지토(微溫之土): 동토(凍土)인 丑土가 사주에서 화기(火氣)를 받으면 미약하나마 온기(溫氣)를 받는다 하여 丑土에 火가 있는 경우를 미온지토(微溫之土)라고 한다. 온난지토(溫暖之土)

*축수양목(蓄水養木): 물을 간직하여 나무를 키운다는 의미. 辰土의 속성.

*과어유정(過於有情): 유정(有情)은 본래 좋은 것이나 그 정(情)이 너무 과하면 발전에 지장이 있다는 의미.
상합(相合)이 너무 많은 경우. 과어유정,지무원달((過於有情,志無遠達)

*왕희순세(旺喜順勢): 왕한 것은 운(運)에서 순세(順勢)를 만나야 기뻐한다는 의미.

*화지진가(化之眞假): 화격(化格)에는 진화(眞化)가 있고 가화(假化)가 있다는 의미.

*화위설상(化爲泄傷): 일주가 합하여 화격(化格)을 이루었는데 설기(洩氣)가 태왕(太旺)한 경우. 화신부족(化神不足)

*화신설수(化神泄秀): 화신(化神)이 왕한데 설기(洩氣)가 빼어나다는 의미. 화신유여(化神有餘)

*거탁유청(去濁留淸): 사주에 청기(淸氣)와 탁기(濁氣)가 혼합되어 있다가 탁기(濁氣)는 제거되고 청기(淸氣)만이 남아 있다는 의미.

*신청기수(神淸氣秀): 일주가 고강(高强)하여 그 정신이 청(淸)하고, 또 용신의 기(氣)가 빼어나다는 의미.

*방신유정(幇身有情): 비견겁(比肩劫)이 일주를 방조(幇助)함이 유정(有情)하다는 의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890건 106 페이지
사주가이드#1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315 no_profile 깡통박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 10-02
314 no_profile 초인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66 10-02
열람중 no_profile 원제역학연구원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30 10-02
312 no_profile 바른마음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94 10-02
311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3 10-02
310 no_profile 을일생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24 10-02
309 no_profile 깡통박사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50 10-02
308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48 10-02
307 no_profile 파이팅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7 10-02
306 no_profile 을일생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66 10-02
305 no_profile 을일생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202 10-02
304 no_profile 을일생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96 10-02
303 no_profile 을일생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35 10-02
302 no_profile 을일생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5 10-02
301 no_profile 을일생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3 10-02

검색

회원자료공유방
문의/상담 010-2263-9194
계좌번호 국민 097-21-0310-100 (임정환)


07-26 석호* (男) 택일
07-25 강철* (男) 사주
07-23 권다* (女) 사주
07-22 임정* (男) 궁합
07-21 장재* (男) 작명,개명
07-19 선병* (男) 궁합
07-18 서혜* (女) 사주
07-16 박선* (男) 택일
07-14 이태* (男) 사주
07-11 이정* (女) 사주
상담후기
+
계보의 중요성 한국역학의 계보
자강 이석영 선생(1920-1983)
1920년 평안북도 삭주 출생
청주대 법대 졸업
사주첩경의 저자
한국역학교육학원의 창립자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벽천 김석환 선생(1933-2016)
1933년 출생
중앙대 법대 졸업
故 자강 이석영선생님의 계승자
한국역학교육학원 원장
한국역학인총회 총재
前 한국 역학계의 태두(泰斗)
원제 임정환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졸업
벽천 김석환 선생 사사
한국역학교육학원 강사역임
MBC 문화센터 강사 역임
한국역학인총회 사무총장
前 동방대학원 박사과정 교수
기억에 남는 상담 에피소드
역학인, 그 거짓과 진실 [446874] 4
사주를 상담하여 줄 수는 있으나 교훈은 줄 수 없는 경우 [437528] 2
사이비 역술인의 폐해 [287395]
사주를 무조건 부정하던 경우 [442001] 1
사주를 보면서 해줄 말이 없는 경우 [446373] 2
사주가 맞지 않는 경우들 [445769] 2
아들의 외고합격 [466150] 2
젊은 여성의 임신 [398663] 1
재벌 회장의 사주 [454970] 2
유명가수의 사주 [449355] 1
보험설계사 [40326]
이혼상담(마인드가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 [480226] 4
결혼(역학을 배우면 운명이 바뀐다.) [471221] 4
저서

제대로보는
야학노인점복전서
전2권 세트


제대로보는
적천수천미
전4권 세트


제대로보는
명리약언
전1권


제대로보는
궁통보감
전2권


제대로보는
자평진전
전2권

동영상강의
잘못 알고있는 역학상식
명리기초
명리고급
육효방
기타
회원자료공유
질문 및 토론
찾아오시는 길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비회*
접속자 238명 (회원:0 / 손님: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