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평진전(論陰陽生剋)
페이지 정보
본문
論陰陽生剋
四時之運,相生而成,故木生火,火生土,土生金,金生水,水複生木,即相生之序,迴圈叠運,而時行不匱。然而有生又必有剋,生而不剋,則四時亦不成矣。剋者,所以節而之,使之收斂,以爲發泄之機,故曰“天地節而四時成”。即以木論,木盛于夏,殺於秋,殺者,使發泄于外者藏收內,是殺正所以爲生,大易以收劍爲性情之實,以兌爲萬物所說,至哉言乎!譬如人之養生,固以飲食爲生,然使時時飲食,而不使稍饑以待將來,人壽其能久乎?是以四時之運,生與剋同用,剋與生同功。“生與剋同用,剋與生同功”二語,實爲至言。有春夏之陽和,而無秋冬之肅殺,則四時汪成;有印動之生扶,而無煞食之剋泄,則命理不成。故生扶與剋泄,在命理之用,並無二致,歸於中和而已。然以五行而統論之,則水木相生,金木相剋。以五行之陰陽而分配之,則生剋之中,又有異同。此所以水同生木,而印有偏正;金同剋木,而局有官煞也。印綬之中,偏正相似,生剋之殊,可置勿論;而相剋之內,一官一煞,淑慝判然,其理不可不細詳也 。陰陽配合,與磁電之性相似。陽遇陽、陰遇陰則相拒,七煞梟印是也;陽遇陰、陰遇陽則相吸,財官印是也。印爲生我,財爲我剋,或偏或正,氣勢雖有純雜之殊,用法尚無大異。官煞,剋我者也,淑慝回殊,不可不辨。比動,同氣也,食傷,我生者也,則又以同性爲純,異性爲雜。純雜之分關於用之強弱,此爲研究命理者所不可不知也。即以甲乙庚辛言之。甲者,陽木也,木之生氣也;乙者,陰木也,木之形質也。庚者,陽金也,秋天肅殺之氣也;辛者,陰金也,人間五金之質也。木之生氣,寄於木而行於天,故逢秋天爲官,而乙則反是,庚官而辛殺也。又以丙丁庚辛言之。丙者,陽火也,融和之氣也;丁者,陰火也,薪傳之火也。秋天肅殺之氣,逢陽和而剋去,而人間之金,不畏陽和,此庚以丙爲殺,而辛以丙爲官也。人間金鐵之質,逢薪傳之火而立化,而肅殺之氣,不畏薪傳之火。此所以辛以丁爲殺,而庚以丁爲官也。即此以推,而餘者以相剋可知矣。此論官煞之火概也。然以乙爲木之形質,辛爲人間五金之質,丁爲薪傳之火,似未盡合。十干即五行,皆天行之氣也。就氣而分陰陽,豈有形質可言?譬如男女人之陰陽也,而男之中有陽剛急燥,有陰沈柔懦,女之中亦然,性質不同也。取譬之詞,學者切勿執著。五行宜忌,全在配合,四時之宜忌,又各不同。茲錄各家論五行生剋宜忌於後。
一, 음양(陰陽)과 생극(生剋)을 논함
-사시(四時)의 운행은 오행의 상생(相生)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木이 火를 생하고, 火가 土를 생하고, 土가 金을 생하고, 金이 水를 생하고, 水가 다시 木을 생하게 되니, 이것이 오행이 상생하는 순서이다. 오행이 순환하며 운행하여 시간이 멈추지 않고 흐르는 것이다. 그러나 상생이 있으면 필히 상극(相剋)이 있는 법이다. 상생만 하고 상극(相剋)하지 않는다면 사계절 역시 이루어질 수 없다. 극(剋)이란 생(生)을 절제하여 그치게 함이니 만물을 수렴하고 발설하는 기틀이 된다. 그러므로 천지가 사계절로 단락을 이룬다는 말이 있는 것이다. 木을 가지고 예를 들어 보면, 木은 여름에 무성하고 가을에는 숙살(肅殺)이 되는 바, 숙살의 기운이란 외부로 발설하는 기운을 안으로 수렴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숙살의 기운은 바로 생(生)의 다른 한 측면이 된다. 易에서는 수렴은 성정(性情)의 실체이고, 태(兌:西方)는 만물을 이룬다고 하였으니, 지극한 이치가 아니겠는가? 인간의 양생(養生)에 비유한다면, 음식을 먹고 살지만 음식을 먹지 않을 때가 있어서 위장을 쉬게 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장수할 수 있겠는가? 사시(四時)의 운행도 이와 같아서 생(生)과 극(剋)이 모두 같은 쓸모와 효능이 있는 것이다.
-사시(四時)의 운행은 오행의 상생(相生)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木이 火를 생하고, 火가 土를 생하고, 土가 金을 생하고, 金이 水를 생하고, 水가 다시 木을 생하게 되니, 이것이 오행이 상생하는 순서이다. 오행이 순환하며 운행하여 시간이 멈추지 않고 흐르는 것이다. 그러나 상생이 있으면 필히 상극(相剋)이 있는 법이다. 상생만 하고 상극(相剋)하지 않는다면 사계절 역시 이루어질 수 없다. 극(剋)이란 생(生)을 절제하여 그치게 함이니 만물을 수렴하고 발설하는 기틀이 된다. 그러므로 천지가 사계절로 단락을 이룬다는 말이 있는 것이다. 木을 가지고 예를 들어 보면, 木은 여름에 무성하고 가을에는 숙살(肅殺)이 되는 바, 숙살의 기운이란 외부로 발설하는 기운을 안으로 수렴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숙살의 기운은 바로 생(生)의 다른 한 측면이 된다. 易에서는 수렴은 성정(性情)의 실체이고, 태(兌:西方)는 만물을 이룬다고 하였으니, 지극한 이치가 아니겠는가? 인간의 양생(養生)에 비유한다면, 음식을 먹고 살지만 음식을 먹지 않을 때가 있어서 위장을 쉬게 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장수할 수 있겠는가? 사시(四時)의 운행도 이와 같아서 생(生)과 극(剋)이 모두 같은 쓸모와 효능이 있는 것이다.
-계절의 움직임과 시간은 상생으로 움직인다. 상생(우선-순생)이 있으면 반드시 상극(좌선-역극)이 있다. 상극은 만물을 수렴하고 발설하는 기운이며 필요害로서 천지의 흐름을 사계절, 시간(때)으로 구분한다. 수렴으로 물질의 실체를 이루며 兌(서)궁에서 만물을 이룬다.
-생극의 예외
1, 상생 : 목다화식, 화다목분, 화염토초, 화다토척, 토다화회, 토다매금, 금다토약, 금침수저, 금다수탁, 수다목부, 목다수축
2, 상극 : 토다목절, 토중목절, 수다토류, 화염수작, 금다화식, 목다금결, 목견금결,
3, 아주 태왕(강)한 자는 기운을 막는 것(극제) 보다 설기해야 한다(태왕-강-자희설)
二, 五行의 相生,相剋(相制,相火,相侮,相母,極生,比和)
-五行의 순환 : 木→火→土→金→水→목→
比劫→ 傷食→ 財星→ 官殺→ 印綬→비겁→
(官-법을 지키는 자, 殺(鬼)-법을 어기는 자)
1, 相生(하도,복희)-생성, 북방 水에서 좌선(木→火→土→金→水)
계절의 순환, 천륜(부모×자식), 상부상조질서,
가, 五行의 正순환 : 목生화, 화生토, 토生금, 금生수,
나, 五行의 逆순환 : 화生목, 토生화, 금生토, 수生금, 목生수,
相克(낙서,문왕)-상극, 북방 水에서 우선(水→火→金→木→土)-변화,생명,정신,
계절의 상대, 인륜(夫×婦), 필요剋, 火→金는 금화교역.
•, 比(가까운)상생, 間(한칸 건너)상극이다.
•, 陰陽이 상승보완작업을 하듯이 生剋은 홀로 존재하지 않고 공존한다.
•, 河圖와 洛書에서 金火(4,9×2,7)의 交易의 象이 나타난다(金火交易). 동남방(巳)에서 火를 생하는 것과 동시에 火는 金에 의하여 포위를 당하게 된다.
•, 우주운행은 生하는 면에서 보면 오행법칙의 기본적 작용에 의하여 相生의 순서 대로 운동하고, 變化하는 면(생성)에서 보면 必要剋에 의하여 운동한다. 음양의 두 氣가 서로 극하면서 운행하는 오행의 相剋原理는 相生原理의 이면이다.
•, 相生의 순서대로 우선하는 방향에서 관찰하면 남방에서 金이 火를 포위하여 북방水로 돌아가 다시 동방木을 생하는 相剋作用이 우주본체를 이루는 象이다.
•, 木의 형성은 金의 剋으로서 形을 만들고 水가 土의 剋을 받아서 木의 神을 보급함으로서 木을 생하게 되고 木은 金의 剋을 받아서 火의 神을 만들고 火가 水의 剋을 받아서 자기의 形을 만드는 것이다.
•, 火가 水의 剋을 받아서 土의 神을 만들고 土는 木의 剋을 받아서 자기의 形을 만듬으로서 土가 生하여 지고 土가 木의 剋을 받아서 金의 神을 만들고 金은 火의 剋을 받아서 金의 形을 만듬으로서 金을 生하는 것이다.
•, 金은 火의 剋을 받아서 水의 神을 만들고 水는 土의 剋을 받음으로서 水의 神을 만들고 土의 剋을 받아서 자기의 形을 만들어서 水를 生하고 水는 土의 剋을 받아서 木의 神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 相制相化(制化)는 서로 억누르고, 서로 化한다(억누르고 化한다)는 뜻으로 상생 상극이론을 보충한 것이다.
*, 相侮(侮克,反剋,回剋) : 相剋은 상대 세력에 따라 강한 쪽이 약자를 지배하거나 다스리고 상대의 활동을 제한한다. 水가 火를 剋하는데 火의 세력이 강하면 반대로 火가 水를 剋하는 현상,
•, 목剋토→토侮목, 토剋수→수侮토, 수剋화→화侮수, 화剋금→금侮화, 금剋목→ 목侮금
*, 相母 : 生을 받는 쪽(아들)이 어미인 母의 자양분을 빨아 먹음으로서 母가 약해지는 현상, 水生木에서 아들인 木이 어미인 水의 자양분을 빨아먹어 水가 약해지는 현상,
•, 수生목→목母수, 목生화→화母목, 화生토→토母화, 토生금→금母토 금生수 →수母금
@, 五行은 生을 하고 剋,侮,母의 필요害를 하면서 우주의 변화와 생성을 연출한다.
*, 變極(極生)-김일부(恒), 相剋이 極에 달하면 生한다는 원리,
•, 토極生수, 수極生화, 화極生금, 금極生목, 목極生토,
•, 五行相剋의 목적은 剋에 있는 것이 아니고 生에 있다.
*, 比和 : 木이 木을 보는 것과 같이 같은 오행을 만나는 경우(比劫)
1, 相生 相剋의 변화
-陽이 陽을 상생,상극,비화 하는 것은 100%의 작용력이 있고 陽이 陰을 陰이 陽을 상생,상극,비화 하는 것은 50%의 작용력이 있다.
가, 相生(生化) : 五行의 流氣, 서로 도아주고 살린다. 나아간다. 化한다. 서로 生하여 준다. ‘주는 것이 곧 받는 것’-먼저 生하여 주어야 한다. 서로 相
1), 木生火란 木을 살리고 도아주며 木운동의 끝에는 火운동으로 나아가고 木은 결국 火에 화한다.
2), 일방적으로 生하는 것이 아니고 서로가 相生을 한다. 木生火인데 火는 火克金하여 金克木을 제거하며 나무가 자라도록 열기를 제공하고 꽁꽁 언땅을 녹여준다.
3), 동남방의 木火(생장,분열)는 陽을 生하면서 확장하고, 서북방의 金水(수장,통일)는 陰을 生하면서 종합하는데 이는 陰과 陽의 투쟁의 승부작용이다.
*, 相生에서 水生木하나 水多하면 목부(木浮,腐), 木生火하나 木多하면 화식(火息), 火生土하나 火多하면 토조(土燥), 土生金하나 土多하면 금매(金埋), 金生水하나 金多하면 수탁(水濁),
나, 相剋-억제하여 조절함,
1), 만물의 生長收藏하는 법칙에서 처음은 生하고 다음에 剋한다(貪生忘剋).
2), 木의 발산하는 성질을 金의 기운으로 수축시키고 응고시킨다.
3), 적당한 자극과 함께 다듬고 조절하는 기능이다.
*, ‘金剋木’의 경우 나무는 쇠로 만든 도끼,톱이 있어 가다듬어야 재목, 가구가 되는 것처럼 개혁과 발전을 위한 작용으로 보는 것이다.
4), 강자와 약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싸움과 같이 정복하려는 자와 지배당하는 자의 관계이다.
5), 인간은 전쟁보다는 평화을 추구하는 것처럼 사주에 相生과 相剋이 연이어 있다면 오행 相剋보다는 相生을 탐을 내 相剋作用은 자연스럽게 약해진다(貪生忘剋).
*, 相剋에서는 水剋火하나 火多하면 수갈(水渴), 火剋金하나 金多하면 화식(火息), 金剋木하나 木多하면 금결(金缺), 木剋土하나 土多하면 목절(木折), 土剋水하나 水多하면 토붕(土崩),
6), 通關 : 이 쪽과 저쪽의 막힌 것을 통하게 해준다. 통관은 凶神이 변하여 吉神이 되며 대체로 약한 것을 강하게 反生시켜 주는 역할로 行運에서 통관에 해당하는 운이 轉禍爲福이 되는 경우가 많다.
*, 水火가 상극하는 데는 木이 통관, 火金이 상극하는 데는 土가 통관, 金木이 상극하는 데는 水가 통관, 木土가 상극하는 데는 火가 통관, 土水가 상극하는 데는 金이 통관.
7), 相剋의 경우 陰陽이 같은 경우는 물리치려는 성질에 의하여 상극의 정도가 심하고(100%), 陰陽이 다를 경우에는 남성과 여성의 관계처럼 서로 配合하려는 성질에 의하여 相剋하는 힘이 심하지 않다(50%).
8), 相剋은 모순과 대립을 지양하고 발전과 통일을 위한 必要剋이다.
2, 相剋의 경중
가, 陽과 陽, 陰과 陰이 천간에 나란이 있으면서 剋이 될 때에는 길이든 흉이든 매우 심하다.
나, 剋되는 것끼리 가까이 있으면 길이든 흉이든 심하고 떨어져 있으면 약하다.
다, 喜神이 剋을 받으면 흉이 되고 忌神이 剋을 받으면 길이 된다.
라, 主剋이 2위이고 受剋이 1위이면 主剋이 더욱 강하고 主剋이 1위이고 受剋이 2위이면 受剋이 더욱 강하다.
마, 受剋이 되어도 時令을 얻으면 剋의 역량은 가벼워진다.
바, 剋이 되어도 剋하는 오행을 설기시키는 오행을 도와주는 通關神이 있으면 剋으로 보지 않는다. 이때에는 通關神이 가까이 있어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
사, 剋하는 오행을 生해 주는 것이 있으면 剋하는 역량이 매우 심하다. 가까이 있으면 강하게 나타나고 멀리 있으면 약하게 된다.
3, 相生 相剋의 응용
•, 生→剋→生→剋→(生은 剋을 낳고 剋은 生을 낳는다)
•, 먼저 生을 받고 뒤에 剋을 받아야 하나의 完生이 된다.
출생(生)→결혼(剋) : 공생공존 관계
•, 우주만물은 五行의 生剋작용에 의해 始生→成長→衰退→消滅한다.
•, 官印相生 : 木火×金水-화剋금, 수生목, 목生화
火土×水木-토剋수, 목生화, 화生토
•, 공생공존관계 : 목生화, 화生목 목剋토, 토剋목
•, 七殺(무정의 剋) : 陽이 陽을, 陰이 陰을 극하는 것(100%).
*, 일지가 년주를 剋하게 되면 친척과도 화합하지 못하며 일생 동안 관재구설을 면하기 어렵다.
*, 일.시지가 년.월지를 剋하면 어머니가 먼저 죽는다.
*, 일간이 년간이나 월간을 剋하면 조부모의 재산을 파하게 되고 고향을 떠나 살게 되며 인덕도 없고 관재 구설 등의 재앙이 있다.
*, 일간이나 시간이 년,월간을 剋하면 아버지가 먼저 죽는다.
*, 오행의 상생과 상극은 공존한다(음양의 상승보완작용). 오행의 生而剋, 剋而生.
출처 : 자평진전(論陰陽生剋) - cafe.daum.net/204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