入胎四柱(胎元四柱)
1, 入胎(胎元)사주란 잉태한 년월일시의 柱를 말한다. 入胎(胎元)사주는 잉태할 때의 기후를 보는 것이다.
2, 자평학은 기후를 중요시 여겨 入胎(胎元)을 중요시 하고, 오성학은 태양의 궁도인 命宮을 중요시 여긴다.
3-1, 출생사주의 생년으로 부터 뒤로 나항의 일수을 후퇴해 해당하는 년이 入胎(胎元)년이다
-2, 출생사주의 생월로부터 천간은 1위 전진하고 지지는 3위를 전진하면 入胎(胎元)월이다(당월은 포함하지 않는다). 생월이 己巳월이라고 한다면 천간은 전1위인 庚, 지지는 巳월에서 전3위는 午未申이서 申위이므로 庚申월에 入胎(胎元)한 것이다. 申월에서 다시 1위를 후퇴하면 未월인데 생월의 천간인 己토와 未토와 합이 되는 己未가 되고 여기에서 1위를 전진하면 庚申월이 되는데 이 庚申월이 入胎(胎元)월이 된다.
-3, 출생사주의 일주와 入胎(胎元) 당일의 일진의 지지와 육합이 되며, 출생사주의 시주의 지지가 入胎(胎元)시지와 육합이 된다. 이로서 入胎(胎元)일, 入胎(胎元)시를 알 수가 있다.
*, 지축의 경사로 인하여 현재는 후천의 丑未선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선천의 子午선을 중심으로 하고 있고(23,5도 경사) 지축이 최고로 기울어질 때는 子午선이 27,6도가 된다.
가, 子午일의 일지를 기준으로 하여 여자의 정상적인 생리일수가 276일이고 정상적인 분만일수도 276일이다. 기타 일지의 분만일수는 나항과 같다.
나, 子午일지-276일
丑未일지-266일
寅申일지-256일
卯酉일지-306일(신왕)
卯酉일지-246일(신쇠)
辰戌일지-296일(신쇠)
巳亥일지-286일(신쇠)
--각기 일지에 따라 출생일수가 차이가 10일간 있는 것은 入胎(胎元)할 당시의 하루가 출생할 당시의 10일에 해당하기 대문이다. 정확한 계산은 윤달을 감안해 출생사주의 년월일시에서 위 나항의 일수를 꺼꾸로 세어서 入胎(胎元)사주의 년월일시를 정하는 것이다.
4, 당나라 이허중은 년간=祿, 년지=命, 년주의 납음=身, 사주=태원, 월주, 일주, 시주라고 하였다.
5, 入胎(胎元)는 기후를 대표하기 때문에 지지를 중요시 하여 천간보다 3배나 지지가 강하고 년지, 시지보다는 강력하나 월지보다는 약하다.
6, 入胎(胎元)는 천간이 入胎(胎元)지지를 생조하거나 같은 오행이면 入胎(胎元)지지의 역량은 강해지고, 入胎(胎元) 천간이 入胎(胎元) 지지를 극하거나 入胎(胎元) 지지가 入胎(胎元) 천간을 극하거나 入胎(胎元) 지지가 入胎(胎元) 천간을 생하면 入胎(胎元) 지지는 그 만큼 역량이 감소된다.
7, 入胎(胎元)가 출생사주에서 필요한 용신이 되면 출생사주가 더 좋아지고 入胎(胎元)가 출생사주의 기신이 되면 출생사주가 더 나빠진다. 출생사주에 용신이 없을 때는 入胎(胎元)으로 보완한다.
8, 출생사주가 좋으면 入胎(胎元)의 도움이 필요 없고 결함을 보충할 때에 운에서 入胎(胎元)을 극하면 중상을 당하거나 실직될 우려가 있다.
출처 : 입태사주(태원사주) - cafe.daum.net/2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