風地觀
상괘 손하절 바람과 하괘 곤삼절 땅으로
乾金宮의 酉月卦로 관망의 괘상이다 땅
위에 바람이 불어 움직이는 모든 것을
두루살펴 어느 것 하나 놓치지 않고 관
찰한다는 의미가 숨어있다 풍파소모난제
라 과잉경합이면 기존의 질서가 붕괴될
우려가 있는지라 진실과 정성을 쏟고 경
솔한 행동을 삼갈할 때 복록이 번창한다
◆ 도전괘 = 지택림
◆ 배합괘 = 뢰천대장
◆ 호 괘 = 산지박
◆ 착종괘 = 지풍승
◆ 관은 세수를 하고 제사를 올리지 아니하면, 믿음을 두어서 우러러 보리라.
(제사를 지내기전 세수를 하는 것과 같은 정성을 가지고 백성을 구하면 모두
우러러 보리라)
彖曰, 大觀在上 順而巽 中正而觀天下. 觀관而不薦 有孚옹若 下 觀而化地. 觀天之神道而四時不특. 聖人以神道設敎以天下 服矣. |
◆ 단전에 이르길 크게 봄으로 위에 있어서 순해서 겸손하고 중용과 바름으로 천하를 살피는 것이니 관은 세수를 하고도 제사를 올리지 아니함은 아래가 보아서 화함이라, 하늘의 신비한 도를 봄에 사시절이 어긋나지 아니하니, 성인이 신비한 도로써 가르침을 베풂에 천하가 복종하느니라.
◆ 상전에 이르길 바람이 땅위를 다니는 것이 관이니, 옛 임금들이 이로써 방소를
살피고 백성을 살펴서 가르침을 베푸느니라.
初六 童觀이니 小人은 无咎이나 君子는 吝하니라. |
◆ 초육은 아이를 봄이니, 소인은 허물이 없고 군자는 인색하니라.
(구오 인군과 멀리 떨어져 있는 초육을 얼마나 가까이서 잘 보는 것이 중요하니, 보는 관점이 아이의 소견처럼 좁다, 좁게 보는 것은 소견이 좁은 소인에게는 허물이 없으나 군자가 이와 같이 좁은 관점으로 본다면 허물이 있다는 것이다)
◆ 상전 = 상전에 이르길 초육의 아이들이 보는 것처럼 하는 것은 소인의 도이기 때문이다.
◆ 訂訛笑天 童觀之象 小人之事 君子不當
우물안 개구리가 하늘을 보고 웃음은 어린아이가 세상을 보는 상이니, 소인의 일이요
군자는 당치 않음이라.
◇ 시야가 좁아 아직은 큰 일을 감당키 어려우니 급히 하지 말고 서서히 잘 살펴서 신중히 처리해야 할 것이다.
◆ 육이는 엿보는 것이니 여자의 바름이 이로우니라.
(중을 얻고 바른 자리에 있는 구이가 멀리 떨어져 있는 구오를엿보는 정도이니 대장부는 되지 않으니 여자로서도 바르게 보아야 한다)
◆ 상전 = 상전에 이르길 엿보는 것이 여자로서 바르다 하나 이 또한 추함이라.
(엿본다는 그 자체로도 추악하다는 것)
◆ 暗中규示 視野狹小 丈夫之恥 女子之途
어둠속에서 엿봄은 시야가 좁으니 장부의 부끄러움이요, 여자의 길이라.
◇ 옹졸하고 앞을 내다보지 못하는 행동은 피하도록 힘써야 하며, 큰 문제는 성취하기 어려우니 작은 범위부터 차근차근 처리해야 하며, 더욱 떳떳하고 주관있게 움직여야 한다.
◆ 육삼은 나의 생김새를 보아서 나아가고 물러나도다.
(음이 양자리에 있고 중을 얻지 못한 부당한 괘이나, 구오와 가까워 잘 보이게 되지만 구오만 보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잘 돌아보고 처신을 잘 하여야 한다)
◆ 상전 = 상전에 이르길 나의 생김새를 보고 나아가고 물러나는 것은, 도를 잃지
아니함이라.
◆ 爻在下上 身居分岐 觀我進退 何所不利
효가 하괘의 위에 있으니 분기점에 있음이라, 나를 보아 나아가고 물러나니
어느 곳엔들 이롭지 않으리요.
◇ 자신의 능력과 여건을 잘 살펴서 진퇴의 결단을 내려야 한다.
◆ 육사는 나라의 빛을 봄이니, 왕에게 손님대접을 받는 것이 이로우니라.
(빛은 나라의 정치를 말함이고, 인군의 녹을 받고 벼슬을 하는 것이 정치가 잘 되어
손님 노릇을 하는 것이다)
◆ 상전 = 상전에 이르길 나라의 빛을 본다 함은 손님을 숭상함이라.
(음이 음자리에 바르며 구오 인군과 가까이 있어 구오의 정치를 훤히
볼 수 있고 육사가 나라에 손님이 되듯 벼슬을 잘 펼치는 것)
◆ 四近於五 觀國之光 志在靑雲 身旺官旺
육사가 구오 인군에 가까우니 나라의 빛을 봄이요, 뜻이 푸른 구름에
있으니 몸도 왕성하고 벼슬도 왕성함이라.
◇ 그동안 갈고 닦은 재능을 펼칠 기회가 오게 되니 위를 잘 보필하며 자기의 능력과
뜻을 펼쳐 나가야 한다.
◆ 구오는 나의 생김을 보되, 군자면 허물이 없으리라.
(구오는 인군이니 자기가 펼친 정치를 스스로 뒤돌아보는 것이니 잘 이뤘으면
허물이 없을 것이다)
◆ 상전 = 상전에 이르길 자기의 생김새를 본다 함은 백성을 봄이라.
(여기서 본다는 것은 백성을 보면 자기의 잘잘못이 드러나는 거울과 같다는 말)
◆ 古之賢王 觀我觀民 中正在上 何用不信
옛적의 어진 임금은 자신을 살피고 백성을 살피도다, 중정한 덕으로 위에 있으니
어찌 믿음이 없다 하리요.
◇ 뿌린 씨는 싹이 돋으면 그 실상이 명확하니, 그 동안의 과정을 뒤돌아보고 자중과
반성을 잃지 말고 주위의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한다.
◆ 상구는 그 생김새를 보되, 군자면 허물이 없으리라.
(상구는 구오의 스승(국사)이니 구오의 펼친 정치가 잘 했다면 허물이 없다)
◆ 상전 = 상전에 이르길 그 생김새를 본다함은 뜻이 평안치 않음이라.
(실권이 없는 상구가 가르침을 준 구오의 뜻을 펼침에 잘할것인가에 대해
늘 마음이 편치 않다)
◆ 高而無位 有志未平 自在觀我 養其心性
고귀하되 지위가 없으니 뜻이 있어도 편치 못함이요, 스스로 자신을 살피니
그 심성을 기름이라.
◇ 근심하고 경계하는 자세를 늦추지 말고 중도를 행하며 다른 힘에 의지하지
말아야 한다.
출처 :종인사 鍾印寺
원문보기▶ 글쓴이 : 독왕도